파워디렉터 16에서 opencl 과 쿠다(cuda) 렌더링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외국 사이트를 둘러보다 보니 많은 분들이 쿠다를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 지를 모르고 있네요.
과연 OpenCL 과 CUDA 의 렌더링 결과! 누가 이겼을까요? 이건 순전히 제가 테스트 한 것이므로 다른분과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컴퓨터 사양 :
메인보드(main board) : 970m pro3 / CPU : FX 8300
그래픽 카드(video card) : 엔비디아 지포스 GTX 760 (nVIDIA GEFORCE GTX 760)
메모리 (memory) : 16G

아무것도 적용되지 않는 상태 |
현재 아무것도 적용할 수 없는 하드웨어 가속 부분 상태입니다.
- INTEL 효과 하드웨어 가속
- NVIDIA CUDA
- AMD Accelerated Parallel Processing 활성화
위 내용 중 활성화 할 수 없을 때에는 이부분을 체크할 수 없도록 아래처럼 회색처리 되어 있습니다.

<파워디렉터 16 하드웨어 가속 부분 비활성화 상태 - 활성화 할 수 없음 >
OpenCL 활성화 |
아래처럼 nVIDIA 와 OepnCL 이 마크가 나타나 있으면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하드웨어 가속으로 가서 확인해 볼께요~

하드웨어 가속부분에 '비디오 효과 미리보기 / 렌더링 속도를 높이기 위해 OpenCL 활성화 ' 이 부분을 체크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글씨가 밝게 되어 있습니다.

<파워디렉터 16 하드웨어 가속 부분 활성화 가능 상태 - OPENCL 활성화 할 수 있음 >
nVIDIA cuda 활성화 |
하드웨어 가속부분에 '비디오 효과 미리보기 / 렌더링 속도를 높이기 위해 NVIDIA CUDA 활성화 ' 이 부분을 체크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글씨가 밝게 되어 있습니다.

<파워디렉터 16 하드웨어 가속 부분 활성화 가능 상태 - NVIDIA CUDA 활성화 할 수 있음 >
Open CL 과 CUDA 활성화 방법 |
opencl 과 쿠다의 변경 방법을 영상으로 보여드립니다. 앞부분에 서로 변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방법은 그렇게 어렵지 않으니 따라서 해보세요.
OPENCL VS CUDA 승자는? |
다음은 렌더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순전히 제 컴퓨터에서 저만의 방법으로 테스트를 한 것이라 다른분과 다를 수 있음을 밝힙니다.
영상은 테스트하기 위하여 직접 편집한 5분 13초 정도의 영상입니다.
먼저, OpenCL을 활성화 하였을때 렌더링을 해 본 경우입니다. 아래 마크를 보면 OpenCL 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렌더링에 소요된 경과한 시간은 7분 27초가 걸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쿠다(nvidia cuda)를 활성화 하였을때 렌더링을 해 본 경우입니다. 아래 마크를 보면 OpenCL 이 없음을 알 수 있으며, 렌더링에 소요된 경과한 시간은 6분 36초가 걸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 두가지 방법은 파워디렉터 16에서 여러번 렌더링 한 결과로 비슷하기에 그중에 하나씩 고른 것입니다.
결론 |
몇번에 걸쳐서 테스트를 해 본 결과, 하드웨어 가속부분이 nvidia cuda 활성화라고 되어 있을때 렌더링시 좀 더 빠른 속도를 보여 주었습니다.
사실, 위에 cuda로 설정후 렌더링 한 다음 결과를 도출해 내었는데요. 이후 쿠다(CUDA)를 조금 더 손을 본 다음에는 아주 살짝 더 빠른 렌더링을 보여 주었습니다.
살짝 더 빠른 렌더링 결과를 보여준 cuda 설정 방법은 다음에 이어 적겠습니다.
지금까지 파워디렉터 16, nvidia geforce OpenCL vs CUDA 렌더링에 대해서 개인적인 소견으로 알아 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