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작업을 하면서 윈도우 안전모드 부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작업상 오류라든지, 안전모드로 진입해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등...
저도 처음에는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하는 방법을 어렵게 생각했었어요. 지금은 좀 편하게 할 수 있네요.
왜? 처음에는 어려웠을까낭~
윈도우 XP 시절에는 안전모드로 부팅하려면, 그냥 간단하게 컴퓨터를 켠 후 모니터에서 화면이 바뀌기 전에 F8을 타타타타타~ 연타하면 안전모드를 선택하는 창이 떴는데, 윈도우 10 안전모드 부팅은 쉽지가 않아서 두려움??
지금은? 쉬울수도 어려울수도... 이번에는 쉽고 간단하게 안전모드로 부팅하는 방법을 설명해 볼까 합니다.
단, 쉽다는 것은 컴퓨터 전원을 켜고 정상적이든 비정상적이든 로그인 화면이나 바탕화면이 나올때까지 부팅이 된 다음의 일입니다. 컴퓨터를 부팅도 안된 상태에서 안전모드 진입은 차후에 다시 다루어 볼까 해요.
우선, 위에 적은 대로 컴퓨터가 로그인 또는 바탕화면이 나올때까지 부팅이 된 상태애서 윈도우 10 안전모드 부팅방법에 대해 설명해 볼까 합니다.
아래 길게 적었기는 한데, 알고 보면 간단합니다. 그럼 방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컴퓨터를 켜고 로그인 화면, 또는 바탕화면이 나올때까지 기다려 줍니다.
- 여기에서는 바탕화면까지 부팅이 된 상태로 설명합니다. 로그인 화면에서는 시작 아이콘은 없고, 아래와 똑같이 생긴 전원 아이콘 표시가 바로 보일 것입니다.
2. ( 반드시 끝까지 읽어 주세요. 한국말은 끝까지 들어 봐야 하듯이, 여기는 끝까지 읽어야 합니다. 이유인즉, 그냥 전원을 꺼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시작버튼(윈도우 모양)을 누른 다음, 전원 아이콘을 눌러줍니다. 그럼 다시 시작(아이콘과 글) 표시가 나타나는데, 바로 클릭하시면 안됩니다.
3. 다시시작 아이콘을 바로 클릭하지 않으셨죠? 바로 클릭하였다면 컴퓨터가 꺼졌다가 다시 켜졌을 것입니다. 그러니, 다시 시작버튼을 바로 클릭하면 안됩니다.
4. 다시시작버튼을 누르기 전에 쉬프트 키를 눌러 주세요. 눌렀다가 떼는 것이 아닙니다. 그냥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 키보드 쉬프트 키 (Shift key)를 쭈~~욱 누르고 있어야 해요. 마우스로 다시시작을 클릭한 후에도 쉬프트 키는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5. 모니터에서 " 잠시 기다려 주세요. " 화면이 나오면 누르고 있던 쉬프트 키에서 천천히 손을 떼어도 됩니다.
6. 잠시 기다리면, 옵션 선택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 계속은 컴퓨터가 꺼졌다가 다시 켜지는데, 안전모드가 아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윈도우 화면이 뜹니다. 한마디로, 그냥 컴퓨터를 껐다가 켜는 것과 같아요.
- 문제 해결은 안전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옵션이 있습니다. 이걸 선택하면 됩니다.
- PC 끄기 는 그냥 컴퓨터를 끄는 겁니다. 이걸 선택하면 컴퓨터가 끄냥 뿅~ 하거 꺼질 것입니다.
7. 문제 해결을 선택한 다음, 시작 설정(Windows 시작 동작 변경)을 선택하여 줍니다.
8. 시작 설정화면이 나왔군요. 아래 글을 보면요...
- 저해상도 비디오 모드 사용.
- 디버깅 모드 사용
- 부팅 로깅 사용
- 안전 모드 사용
-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 안 함
- 조기 실행 멜웨어 방지 프로그램 보호 사용 안 함.
- 시스템 오류 시 자동 다시 시작 사용 안 함.
다시 시작하게 되면 위 옵션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안전모드 사용이 있네요. 다시 시작을 눌러 줍니다.
9. 컴퓨터가 꺼졌다가 켜지면서 나오는 시작 설정 화면입니다.
키보드에서 숫자 4, 5, 6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 키보드 숫자키 4 를 누르면, 안전 모드 사용 가능하되, 인터넷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키보드 숫자키 5 를 누르면, 인터넷이 사용 가능한 안전 모드로 부팅이 됩니다.
- 키보드 숫자키 6 를 누르면, 명령 프롬프트 사용이 가능한 안전 모드로 부팅됩니다.
참고로, 아래와 같이 페이징 파일 구성 문제에 대한 시스템 속성창이 뜨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뜨지 않을 거에요. 아래와 같은 경우가 뜨는 이유는 가상 메모리 설정을 특정 드라이브로 변경하였는데, 인식하지 않았을 경우에 뜰 겁니다. 이런 경우에는 가상 메모리를 윈도우가 설치된 곳에 만들어 주면 됩니다.
다시 한번 적지만, 위 창은 대부분은 뜨지 않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윈도우 10 안전모드 부팅 방법중 하나인 로그인 화면과 바탕화면에서 간단하게 안전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방법의 안전모드 부팅 진입과, 윈도우 팁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01_컴퓨터 > 윈도우.유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러스 Vrius Win32/Floxif.h 감염, 이렇게 해결해 보았다. (0) | 2021.08.04 |
---|---|
구글 드라이브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없습니다. 파일을...' (0) | 2021.05.27 |
당신의 MEGA용 브라우저 내장 공간이 가득 찼습니다. 팝업창이 (3) | 2021.01.29 |
윈도우10 팁_002 작업표시줄 아이콘 잘 안쓴디 그~냥 감추고 삭제를 (0) | 2020.12.05 |
윈도우10 팁_001 다크 테마모드 파일탐색기 어둡게 밝게 하는 방법 (0) | 2020.12.03 |
댓글